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정부가 2025년 추가경정예산(추경)을 통해 전국 300만 명 이상의 소상공인에게 전기, 가스, 수도요금 및 4대 보험료를 지원하는 ‘부담경감 크레딧’ 제도를 7월부터 본격 시행합니다.

     

    이번 지원금은 급격한 경기 둔화와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정책으로, 최대 50만 원 상당의 공과금 전용 크레딧이 지급됩니다.

     

    이 글에서는 지원 대상, 지원 금액, 사용처, 신청 방법까지 소상공인분들이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자세히 안내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신청 시기와 방식은 정부 및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되어 있습니다

     

     

    ✅ 왜 ‘부담경감 크레딧’이 생겼을까?

    2025년 정부는 총 12조 원 규모의 추경 예산을 편성해 7월 말까지 70% 이상을 신속 집행할 방침입니다. 그중 약 1조 6천억 원 규모가 바로 소상공인을 위한 공과금 지원인 ‘부담경감 크레딧’입니다.

     

   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민생 안정과 소상공인 부담 완화를 위한 특단의 조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✅ 지원 대상 –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

     

    • 📌 전국 약 300만 명의 소상공인
    • 📌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기업 및 자영업자
    • 📌 폐업 상태가 아닌, 현재 사업자 등록 상태인 경우

    자격 확인은 국세청 자료 및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DB를 통해 자동 검증될 예정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✅ 지원 내용 – 최대 50만 원 공과금 크레딧

     

    • 💡 전기요금, 가스요금,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납부에 사용 가능
    • 💡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 등 4대 보험료도 사용 가능
    • 💡 선불 충전 형태의 크레딧 지급
    • 💡 2025년 7월부터 12월까지 순차 집행

    사용처는 한국전력, 지역도시가스사, 국민건강보험공단, 국민연금공단 등 정부 지정 공과금 기관으로 제한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✅ 신청 방법 –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접수 예정

     

    현재 기준으로는 소상공인정책자금.kr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접수와, 시·군·구청 민원실 또는 소상공인지원센터 방문 접수가 병행될 예정입니다.

     

    1. 1️⃣ 온라인 신청: 본인 인증 후 사업자등록번호 입력
    2. 2️⃣ 오프라인 신청: 신청서 및 사업자등록증, 통장사본 제출
    3. 3️⃣ 지급 방식: 모바일 크레딧 발급 또는 선불카드 지급

    정확한 접수 시작일과 포털은 6월 중 별도 공지 예정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✅ 부가 혜택 – 함께 알아두면 좋은 정부 지원 정책

     

    • 🪙 상생페이백: 소상공인 카드 매출 비중 높은 업장에 최대 30만 원 온누리상품권 지급
    • 🏢 지역사랑상품권 보조금: 총 4천억 원 투입, 최대 10% 할인율 유지
    • 🔥 산불 피해 재난지원금: 5월 내 4,500억 원 지급 완료 예정

    ✅ 공과금 크레딧 사용 시 유의사항

     

    • ✔️ 사용 기간 내 미사용 시 자동 소멸
    • ✔️ 지정 기관 이외 사용 불가 (식당·마트 등 사용 불가)
    • ✔️ 일부 항목(연체료 등)에는 적용 제한 가능

     

    ✅ 마무리 요약

     

   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‘부담경감 크레딧’은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공과금 지원금입니다. 정확한 신청 시기와 방식은 6월 중 정부 및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니, 놓치지 말고 꼭 확인하세요!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