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728x90
반응형
2025년 6월 3일(화),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할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실시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사전투표와 선거일 투표 절차, 관내·관외선거인의 구분, 그리고 필수 신분증 정보까지 투표에 꼭 필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
아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사전투표소 위치와 내 투표소 찾기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.
✅ 사전투표 기간 및 시간은 언제인가요?
- 사전투표일: 2025년 5월 29일(목) ~ 5월 30일(금)
- 투표 가능 시간: 매일 오전 6시 ~ 오후 6시
- 사전투표 장소: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가능
👉 출장, 여행 등으로 선거일에 투표가 어려운 분들은 꼭 사전투표를 활용하세요.
🪪 투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신분증은?
투표 시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
사용 가능한 신분증:
- 주민등록증
- 운전면허증
- 여권
- 장애인등록증
- 모바일 신분증 (네이버 자격증, 카카오톡 지갑, PASS 앱 등)
- 단, 캡처 이미지 사용 불가 – 반드시 앱을 직접 실행해 보여줘야 합니다.
신분증 없을 시 아래의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할 수 있는 어플을 사용하세요
📌 관내선거인 vs 관외선거인, 어떤 차이가 있나요?
- 관내선거인: 해당 구·시·군 안에 주소를 둔 유권자
→ 투표용지를 받아 기표 후 관내투표함에 투입 - 관외선거인: 해당 지역 외부 주소지를 둔 유권자
→ 투표용지 + 회송용 봉투를 받아, 기표 후 봉투에 밀봉하여 관외투표함에 투입
🎯 예시:
서울 구로구 사전투표소에서
- 구로구 주민 → 관내선거인
- 부산 시민 → 관외선거인
✍️ 사전투표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
- 신분증 제시 → 투표사무원이 본인 확인
- 손도장 또는 서명으로 본인 확인 완료
- 관내/관외 여부에 따라 투표 진행
- 관내: 기표 후 투표용지 접어 투표함 투입
- 관외: 기표 후 회송용 봉투에 넣어 밀봉 후 투표함 투입
🗓️ 선거일(6월 3일) 투표는 어떻게 하나요?
- 투표 일시: 2025년 6월 3일(화) 오전 6시 ~ 오후 8시
- 투표소: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 (주소지 기준)
📋 선거일 투표 절차
- 신분증 제시 후 본인 확인
- 선거인명부에 서명 또는 도장 날인
- 투표용지 수령
- 기표 후 접어서 투표함에 직접 투입
🗳️ 꼭 기억하세요! 투표는 권리이자 책임입니다
제21대 대통령선거는 우리 삶의 방향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결정의 날입니다.
5분도 걸리지 않는 시간, 신분증 하나만 있으면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.
✔️ 사전투표든 본투표든 꼭 투표하세요!
반응형